-
21
-
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‘항일음악’ 분석
-
방학진;
민족문제연구소;
(글로벌문화콘텐츠,
v.0,
2025,
pp.87-121)
-
22
-
해방 후 국어학계의 분열과 대립― 언어민족주의와 ‘과학적’ 언어학을 중심으로 ―
-
이준식;
사단법인민족문제연구소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13,
pp.88-118)
-
23
-
한국 역사 교과서인가, 아니면 일본 역사 교과서인가?―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일제강점기 서술 비판
-
이준식;
사단법인민족문제연구소;
(역사비평,
v.0,
2013,
pp.54-81)
-
24
-
사상과 운동으로서의 한국 역사학을 위해-1987년 이후 학술운동과 한국사연구단체에 대한 단상-
-
박한용;
사단법인민족문제연구소;
(역사연구,
v.0,
2008,
pp.63-94)
-
25
-
재판 관련 기록으로 본 화성 장안·우정면 3·1만세운동
-
이용창;
사단법인민족문제연구소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18,
pp.37-86)
-
26
-
안재홍의 민족주의론 - 근대를 넘은 근대?
-
박한용;
사단법인민족문제연구소;
(韓國史學報,
v.0,
2000,
pp.97-131)
-
27
-
태평양전쟁기 북마리아나 지역 한인의 전쟁동원과 포로수용소 체험
-
김명환;
사단법인민족문제연구소;
(한국민족운동사연구,
v.0,
2024,
pp.271-307)
-
28
-
南洋拓殖株式會社의 조선인 동원과 그 실태 -南洋拓殖株式會社의 명부 분석을 중심으로-
-
김명환;
사단법인민족문제연구소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23,
pp.127-155)
-
29
-
16-17세기 초반 퇴계 문인의 서원 건립 활동
-
권시용;
민족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;
(한국서원학보,
v.0,
2019,
pp.5-47)
-
30.
- 경남 마산 지역의 친일의혹 인물과 기념 사업 논쟁 : 이은상·조두남·장지연을 중심으로
- 황혜정
-
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41 p.(단면), 200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