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‘鄕曆’에서 ‘東曆’으로: 조선후기 自國曆을 갖고자 하는 열망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13,
pp.237-270)
-
22
-
『東國 · 增訂 · 增補文獻備考』 「象緯考」의 편찬과 영정조대의 한국 천문학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진단학보,
v.0,
2008,
pp.249-280)
-
23
-
김영식의 동아시아 과학 전통 읽기를 넘어서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한국과학사학회지,
v.36,
2014,
pp.423-437)
-
24
-
조선 후기 서양 천문도의 전래와 신·고법 천문도의 절충
-
문중양;
한국정신문화연구원;
(한국과학사학회지,
v.26,
2004,
pp.29-55)
-
25
-
19세기의 호남 실학자 이청의 ⟨井觀編⟩ 저술과 서양 천문학 이해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06,
pp.125-156)
-
26
-
18세기말 천문역산 전문가의 과학활동과담론의 역사적 성격-徐浩修와 李家煥을 중심으로-
-
문중양;
한국정신문화연구소;
(동방학지,
v.0,
2003,
pp.51-84)
-
27
-
한국과학사 연구의 현황과 쟁점 —전근대 천문지리학 및 우주론 연구를 중심으로—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14,
pp.343-370)
-
28
-
19세기 조선의 자연지식과 과학담론 : 명말明末·청초淸初 중국 우주론의 늦은 유입과 그 영향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다산학,
v.0,
2008,
pp.7-42)
-
29
-
중국과 조선에서의 빛과 소리에 대한 기론적 논의 : 17세기 방이지 학파와 19세기 초 이규경을 중심으로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13,
pp.321-359)
-
30
-
조선후기 실학자들의 과학담론, 그 연속과 단절의 여사 : 기론(氣論)적 우주론 논의를 중심으로
-
문중양;
한국정신문화연구원;
(한국학,
v.26,
2003,
pp.27-5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