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만보산 사건과 조선인 사회주의자들의 중국 인식
-
윤상원;
전북대학교;
(한국사연구,
v.0,
2012,
pp.271-296)
-
22
-
한국 역사학계의 만보산사건 연구동향과 과제
-
윤상원;
전북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16,
pp.7-38)
-
23
-
일제 암흑기 만보산사건과 소설적 재현 양상 연구
-
용석원;
건국대학교;
(통일인문학,
v.50,
2010,
pp.147-173)
-
24
-
만보산사건과 한·일 소설의 대응 —「萬宝山」·「農軍」·「벼」를 중심으로
-
장영우;
동국대학교;
(한국문예창작,
v.6,
2007,
pp.175-203)
-
25
-
영국 외교문서로 재구성한 1931년 만보산사건과 조선 반중폭동
-
강진아;
한양대학교;
(동양사학연구,
v.0,
2021,
pp.147-192)
-
26
-
동아시아 '타자' 형상 비교 연구- 만보산 사건을 수용한 한중일 소설을 중심으로
-
김창호;
강원대학교;
(중국현대문학,
v.0,
2004,
pp.379-404)
-
27
-
한국의 문학/지식 장에서 ‘만보산 사건’이 기억되어 온 몇 가지 방식
-
김준현;
고려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16,
pp.39-74)
-
28
-
만보산 사건과 아동문학-신의주 반중국인 폭동을 다룬 김우철의 소년소설-
-
원종찬;
인하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22,
pp.183-221)
-
29
-
만보산 사건의 소설화: 새롭게 발굴된 중국의 단편소설 네 편을 중심으로
-
김강;
중국 연변대학교 조한문학원;
(통일인문학,
v.89,
2022,
pp.423-452)
-
30
-
재현(再現)‧변형(變形)‧재해석(再解釋): ‘만보산(萬寶山)사건’ 제재韓‧中‧日 소설의 문학적 분화 연구
-
류창진;
전남대학교;
(중국인문과학,
v.0,
2014,
pp.401-43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