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.
- 보육 시설장의 자연친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보육 현장 적용에 관한 연구
- 김미진
-
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1
-
22
-
동아시아 복지체제 재편과 젠더-한국과 일본의 자녀양육지원 정책을 중심으로
-
이재경;
마경희;
이화여자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(가족과 문화,
v.19,
2007,
pp.91-116)
-
23
-
Collective Memory and Formation of the “Unconscious” Political Generation: Focusing on the Former Period Baby Boomers in Korea
-
마경희;
김혜경;
한국여성정책연구원;
전북대학교;
(Journal of Asian Sociology,
v.44,
2015,
pp.77-116)
-
24
-
여백의 의미고찰을 통한 존재론적 탐구-자전적 미술치료 경험을 중심으로
-
마경희;
신지현;
건국대학교 문학예술심리치료학과;
건국대학교 대학원 문학․예술심리치료학과;
(미술치료연구,
v.31,
2024,
pp.357-381)
-
25
-
한국 내 재난 트라우마에 대한 공공 및 민간부문의 대응 방안과 사회복지의 역할
-
강윤경;
마경희;
강원대학교;
Univ. of South Carolina at Columbia;
(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,
v.11,
2023,
pp.109-121)
-
26
-
눈사람: 자기(Self)실현과 대극합일의 상징
-
마경희;
신지현;
건국대학교 문학예술심리치료학과;
건국대학교 문학예술심리치료학과;
(상징과 모래놀이치료,
v.14,
2023,
pp.123-170)
-
27.
-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원장·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도에 관한 연구
- 민광순
-
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x, 98p., 2005
-
28
-
Work and Family Policy Framing and Gender Equality in South Korea: Focusing on the Roh Moo-huyn and Lee Myung-bak Administrations
-
마경희;
김승경;
이재경;
한국여성정책연구원;
Indiana University;
이화여자대학교;
(Journal of Asian Sociology,
v.45,
2016,
pp.619-652)
-
29
-
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코로나19 대응 및 과제 탐색 - 센터장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-
-
김수정;
마경희;
윤성은;
서울시립대학교;
Univ. of South Carolina at Columbia;
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;
(생명연구,
v.58,
2020,
pp.245-271)
-
30.
- 生態幼兒敎育에 관한 學父母와 敎師의 認識 및 要求度의 差異
- 권성현
-
慶雲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, 국내석사,
iii, 80p., 200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