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삼복의 결정법과 역사
-
민병희;
이기원;
최고은;
안영숙;
한국천문연구원;
대구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원;
한국천문연구원;
한국천문연구원;
(천문학회보,
v.37,
2012,
pp.93.2-93.2)
-
22
-
조선(朝鮮) 산학(算學)과 수리정온(數理精蘊)
-
홍영희;
숙명여자대학교 수학과;
(한국수학사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,
v.19,
2006,
pp.25-46)
-
23
-
조선(朝鮮) 산학(算學)의 퇴타술
-
홍성사;
서강대학교 수학과;
(한국수학사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,
v.19,
2006,
pp.1-24)
-
24.
- 조선시대 방정식론 연구 : 중등학교 수학교육을 위한 활용방안
- 이재실
-
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2
-
25.
- 산학정의 하편의 천원술에 관한 연구
- 강순욱
-
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52 p., 2014
-
26.
- 조선시대 수학과 현대수학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: 방정식을 중심으로
- 김겸
-
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59, 2008
-
27.
- 흠정의상고성(欽定儀象考成)에 실린 별들의 동정
- 전준혁
-
충북대학교, 국내석사,
ⅹ,163 p., 2011
-
28
-
조선 시대 수학과 수학자에 대한 역사 드라마
-
이경언;
제주대학교 수학교육과;
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,
v.14,
2014,
pp.93-102)
-
29
-
《역상고성후편》의 <일전역리>, <일전보법>, <일전표>에 기록된 태양의 운동
-
choe, Seung-Urn;
Kang, Min-Jeong;
Kim, Seulki;
Kim, Sukjoo;
Suh, Wonmo;
Lee, Jinhyon;
Lee, Yong Bok;
Lee, Myon U;
Yang, Hong-Jin;
Seoul national University;
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;
Seoul national University;
Anyang University;
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;
Graduate School of Theology, Sogang University;
Sohnam Institute for History of Astronomy;
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, Sohnam Institute for History of Astronomy;
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;
(천문학회보,
v.46,
2021,
pp.35.5-35.6)
-
30
-
신법보천가(新法步天歌) 연구
-
안상현;
한국천문연구원 국제천체물리연구센터;
(韓國宇宙科學會誌 = Journal of astronomy & space sciences,
v.26,
2009,
pp.589-60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