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2건 중 92건 출력
, 3/10 페이지
-
21
-
20세기 바흐수용관의 변천
-
나주리;
한양대학교;
(음악과 문화,
v.0,
2003,
pp.81-106)
-
22
-
20세기 음악과 회화에서의 푸가
-
나주리;
한양대학교;
(서양음악학,
v.9,
2006,
pp.99-122)
-
23
-
‘대중음악가’의 ‘클래식음악’으로의 경계 넘어서기: 스팅의 경우
-
나주리;
한양대학교;
(서양음악학,
v.16,
2013,
pp.11-39)
-
24
-
18세기 후반기(1750-1800)의 바흐상
-
나주리;
한양대학교;
(서양음악학,
v.10,
2007,
pp.11-32)
-
25
-
후기 베토벤의 대위법적 언어, 그리고 바흐: 베토벤의 후기 현악4중주 op. 130을 중심으로
-
나주리;
동덕여자대학교;
(음악논단,
v.38,
2017,
pp.35-72)
-
26
-
여성의 음악후원과 그 역사성: 17세기 합스부르크 황후들의 음악후원의 경우
-
나주리;
;
(음악논단,
v.41,
2019,
pp.1-35)
-
27
-
발다사레 갈루피의 《요한수난곡》: 음악적 실제로서의 전통과 독창, 그리고 그 어울림
-
나주리;
한양대학교;
(서양음악학,
v.16,
2013,
pp.35-62)
-
28
-
유럽 근대 여자수도원 ‘여성음악가’의 음악 삶: 음악교육을 중심으로
-
나주리;
동덕여자대학교;
(음악이론포럼,
v.31,
2024,
pp.37-64)
-
29
-
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종교적 성악작품에 나타나는 악기의 상징성 -칸타타와 수난곡의 레치타티보와 아리아를 중심으로-
-
나주리;
;
(음악논단,
v.28,
2012,
pp.45-71)
-
30
-
17세기 로마의 ‘메세나’ - 우르바노 8세와 바르베리니 가(家)의 오페라 후원을 중심으로 -
-
나주리;
;
(음악논단,
v.31,
2014,
pp.1-3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