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변용(變容)된 서구 철학 추수주의와 현실 권력 추수주의의 결합: 김형효의 자생적 철학체계 수립 기획
-
선우현;
청주교육대학교;
(사회와 철학,
v.0,
2014,
pp.295-332)
-
22
-
김형효와 사실성의 철학
-
노양진;
;
(哲學,
v.108,
2011,
pp.1-23)
-
23
-
놀이로서 세상보기
-
김형효;
;
(인문논총,
v.0,
2007,
pp.3-25)
-
24
-
전환기의 철학과 불교사상
-
김형효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불교학연구,
v.18,
2007,
pp.5-18)
-
25
-
현대시에 나타난 코리언의 모빌리티, 로컬리티, 그리고 정체성: 최석, 김형효, 김블라지미르의 시를 중심으로
-
이명희;
건국대학교;
(통일인문학,
v.78,
2019,
pp.255-277)
-
26
-
한국 철학을 위한 자유평론
-
김형효;
;
(한국학,
v.26,
2003,
pp.3-29)
-
27
-
元曉의 화쟁적 사유와 대승적 세상보기에 대한 이해
-
김형효;
;
(한국학,
v.25,
2002,
pp.107-148)
-
28
-
21세기와 마르셀(G.Marcel)사상의 의미 ―‘실존’과 ‘존재’ ‘신비’와 ‘희망’의 형이상학적 재발견―
-
김형효;
한국정신문화연구원;
(가톨릭철학,
v.0,
2001,
pp.7-49)
-
29
-
원효, 레비-스트로스, 그리고 데리다
-
김형효;
한국학중앙연구원;
(기호학 연구,
v.24,
2008,
pp.9-27)
-
30
-
⟨존재와 無⟩의 문화적 상징과 철학적 의미
-
김형효;
한국학중앙연구원;
(기호학 연구,
v.2,
2004,
pp.101-14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