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5건 중 105건 출력
, 3/11 페이지
-
21
-
농번기(農繁期) 공동취사장(共同炊事場)의 영양조사
-
백정자;
김해리;
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가정학과;
서울대학교 가정대학 식품영양학과;
(韓國營養學會誌 =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.,
v.10,
1977,
pp.48-55)
-
22
-
청주시(淸州市) 웃방꺾음집의 생활공간(生活空間) 변용(變容)에 관한 조산연구(調査硏究) - 안방과 부엌을 중심으로 -
-
김해리;
김태영;
청주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;
청주대학교 건축학과;
(한국주거학회 논문집 =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,
v.20,
2009,
pp.19-29)
-
23
-
농촌 수유부(授乳婦)의 식품(食品) 및 영양섭취(營養攝取)조사
-
김해리;
백정자;
서울대학교 가정대학 식품영양학과;
춘천 간호전문대학;
(韓國營養學會誌 =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.,
v.12,
1979,
pp.41-46)
-
24
-
트립토판 보강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serotonin 대사와 orphine 진통기작 관련성에 대한 연구(I)
-
권영혜;
이윤욱;
김해리;
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;
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연구소;
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;
(The journal of applied pharmacology :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,
v.8,
2000,
pp.311-317)
-
25
-
비타민 E 보강식이가 KK마우스에서 간조직의 항산화계 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
-
김해리;
안현숙;
서소영;
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;
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;
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;
(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,
v.27,
1998,
pp.149-156)
-
26
-
한강공원의 질적 서비스와 이용자 영향권의 상관관계 분석
-
이서효;
김해리;
이재호;
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;
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;
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;
(한국조경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,
v.49,
2021,
pp.27-36)
-
27
-
비타민 C의 보강이 당뇨쥐의 간 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의 Cytochrome P450계에 미치는 영향
-
정연재;
임은영;
김해리;
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;
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;
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;
(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,
v.26,
1997,
pp.682-688)
-
28
-
당뇨 KK마우스에서 비타민 E 보강식이가 신장 당화단백질 생성에 미치는 영향
-
안현숙;
박성연;
김해리;
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;
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;
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;
(韓國營養學會誌 =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.,
v.31,
1998,
pp.1024-1030)
-
29
-
매복된 상악 전치의 교정적 치료 : 증례보고
-
김해리;
오소희;
김영희;
한림대학교성심병원 소아치과;
한림대학교성심병원 소아치과;
한림대학교성심병원 소아치과;
(大韓小兒齒科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,
v.34,
2007,
pp.709-717)
-
30
-
두릅나무와 황백피의 혼합추출물 P55A의 랫트 및 개에 대한 경구투여 급성독성
-
강부현;
손화영;
송시환;
차신우;
서동욱;
정영신;
홍은경;
김해리;
한국화학연구소 안전성연구센터;
한국화학연구소 안전성연구센터;
한국화학연구소 안전성연구센터;
서울대학교 약학대학;
미국 국립 보건원;
태림제약(주);
태림제약(주);
서울대학교 가정대학;
(The journal of applied pharmacology :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,
v.7,
1999,
pp.185-19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