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역사인물소설 창작방법론 서설 - 이태준의 장편소설 ⟨⟨황진이⟩⟩를 중심으로 -
-
김탁환;
건양대학교;
(한국언어문화,
v.22,
2002,
pp.23-41)
-
22
-
디지털시대 전통 기록과 스토리텔링 연구
-
김탁환;
한국과학기술원;
(국학연구,
v.1,
2008,
pp.291-312)
-
23
-
고소설과 이야기 문학의 미래
-
김탁환;
한남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04,
pp.5-28)
-
24.
- 황진이의 소설적 수용과 그 사회문화적 의미
- 배효진
-
건국대학교, 국내석사,
vi, 102장, 2017
-
25.
- 황진이 소재 역사소설의 사적 고찰
- 장선희
-
호서대학교, 국내박사,
ii, 131장, 2010
-
26.
- 황진이 설화의 전개와 소설적 변용
- 박선
-
성신여자대학교, 국내석사,
iv, 132 p,, 2009
-
27
-
마이너리티, 디아스포라 —국경을 넘는 여성들
-
소영현;
;
(여성문학연구,
v.22,
2009,
pp.65-91)
-
28
-
이순신과 영웅의 쇄신 - KBS 대하드라마 『불멸의 이순신』을 중심으로
-
윤진현;
;
(대중서사연구 = Journal of popular narrative,
v.11,
2005,
pp.7-39)
-
29
-
반식민주의적 주체로서의 리심의 정체성 확립
-
이협;
조선대학교;
(건지인문학,
v.0,
2025,
pp.399-432)
-
30
-
이심의 이야기를 활용한 ‘문화콘텐츠 기획’ 강좌 모델 연구
-
정지용;
상명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11,
pp.551-57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