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소설의 상징 시학: 앙드레 말로의 『왕도』를 중심으로
-
김웅권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불어불문학연구,
v.0,
2001,
pp.93-122)
-
22
-
앙드레 말로의 『정복자』에서 서사텍스트의 불연속적 구조와 노장철학 - 변화의 미학 -
-
김웅권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13,
pp.5-34)
-
23
-
비극에의 입문 정도와 부조리에 대한 고찰 - 앙드레 말로의 『왕도』를 중심으로
-
김웅권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04,
pp.27-48)
-
24
-
A.말로의 『모멸의 시대』와 프로메테우스 신화 - 소설의 상징시학을 중심으로
-
김웅권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05,
pp.97-136)
-
25
-
소설의 상징시학 II: 앙드레 말로의 『인간의 조건』을 중심으로
-
김웅권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불어불문학연구,
v.0,
2002,
pp.76-104)
-
26
-
앙드레 말로의 『알튼부르그의 호도나무』에 나타난그리스-기독교 사상― 소설의 상징시학을 중심으로
-
김웅권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불어불문학연구,
v.0,
2003,
pp.38-89)
-
27
-
앙드레 말로의 『왕도』에 나타난 손의 이미지와 마왕 ― “상징시학”의 한 단면 ―
-
김웅권;
외국어대학교;
(불어불문학연구,
v.0,
2004,
pp.53-73)
-
28
-
앙드레 말로의 『반회고록』에서 보편논쟁의 재점화와 보편자 재현의 재수록
-
김웅권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불어불문학연구,
v.0,
2024,
pp.5-31)
-
29
-
앙드레 말로의 예술관 확립에서 소설세계와 『침묵의 소리』의 조응관계
-
김웅권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23,
pp.5-39)
-
30
-
앙드레 말로의 소설세계에서 탐구적 상상력 : 『희망』에서 기독교적 상상력을 중심으로
-
김웅권;
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;
(불어불문학연구,
v.0,
2021,
pp.109-14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