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90건 중 690건 출력
, 3/69 페이지
-
21
-
퍼포먼스로서 ‘시’의 수행성 연구- 문학 기행을 중심으로
-
Kim So Eun,;
;
(드라마연구 = The Journal of drama,
v.60,
2020,
pp.61-108)
-
22
-
독일 기행문학을 통해 본 타자인식과 자기이해 - 문화학과 기행문학의 접목을 위한 시론 -
-
이군호;
;
(헤세연구,
v.0,
2014,
pp.183-208)
-
23
-
A study about Manjeongdang(晚靜堂) Seo, jongtae(徐宗泰)’s travel literature
-
Kwon, jin-ok;
;
(한국문학과예술 = 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,
v.36,
2020,
pp.115-148)
-
24.
- 조선후기 산수기행문학과 기행도의 비교연구 : 농연그룹과 정선을 중심으로
- 고연희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, 1999
-
25
-
식민지 문학자의 만주 체험-이태준의 「만주 기행」
-
김외곤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24,
2004,
pp.301-321)
-
26
-
신경림의 기행문학과 시의 서사화 전략
-
강정구;
김종회;
;
(세계문학비교연구 = The comparative study of world literature,
v.40,
2012,
pp.29-51)
-
27
-
영추, 위기행편에 대한 중국 고천문학적 분석
-
Ur, Woosen;
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제3의학과;
(Korean journal of acupuncture,
v.36,
2019,
pp.252-263)
-
28
-
기행가사의 진술방식과 문학적 형상화 양상
-
박영주;
강릉원주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0,
2005,
pp.219-239)
-
29
-
여성을 여행하(지 않)는 문학 - 「무진기행」의 정신분석적 읽기
-
신형철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5,
2004,
pp.199-238)
-
30
-
미국 기행가사 <해유가>의 문학적 형상화 양상과 시대적 의미
-
김윤희;
고려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1,
pp.39-6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