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한국 經學에서 계승과 개혁
-
금장태;
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05,
pp.1-37)
-
22.
- 동서교섭과 근대한국사상의 추이에 관한 연구 : 18·19세기 조선사회에 있어서 유학과 서학의 교섭을 중심으로
- 금장태
-
성균관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09 p., 1978
-
23
-
조선서학의 전개와 과제
-
금장태;
서울대학교;
(신학과철학,
v.0,
2012,
pp.44-76)
-
24
-
중암 김평묵(重菴 金平黙)에서 경학과 경세론의 연관적 인식
-
금장태;
;
(태동고전연구,
v.27,
2011,
pp.1-46)
-
25
-
미수(眉?)의 ?악설?(樂說) 5편과 ‘악’의 이해
-
금장태;
;
(인문논총,
v.0,
2007,
pp.273-302)
-
26
-
금장태 저, 『조선유학의 주역사상』, 예문서원, 2007 윤종빈 저, 『한국역학의 논리』, 문경출판사, 2007 -한국 易學의 數理論理와 義理學-
-
엄연석;
한림대학교;
(철학사상,
v.0,
2009,
pp.377-393)
-
27
-
금장태 저, 『조선유학의 주역사상』, 예문서원, 2007 윤종빈 저, 『한국역학의 논리』, 문경출판사, 2007 -한국 易學의 數理論理와 義理學-
-
엄연석;
;
(철학사상,
v.0,
2009,
pp.377-393)
-
28
-
2015개정 종교학 교육과정과 유학교육
-
선병삼;
성균관대학교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16,
pp.423-449)
-
29
-
凝窩 李源祚의 道學사상과 시대의식
-
금장태;
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;
(영남학,
v.0,
2006,
pp.5-38)
-
30
-
19세기 한국성리학의 지역적 전개와 시대인식
-
금장태;
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;
(국학연구,
v.0,
2009,
pp.5-5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