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제주 오페라 ⟨拏: 애랑 & 배비장⟩과 ⟨배비장전⟩의 문화콘텐츠 방안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영주어문,
v.31,
2015,
pp.5-36)
-
22
-
기획논문:⟨토끼전⟩의 매체변환과 존재방식 /논평:최호석(고려대)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6,
pp.61-88)
-
23
-
한국 고전소설의 외국어 번역 양상과 의미 - J.S.게일의 ⟨토생전⟩ 번역을 중심으로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코기토,
v.77,
2015,
pp.193-220)
-
24
-
⟨콩쥐팥쥐전⟩의 형성과정 재고찰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12,
pp.251-283)
-
25
-
문화융성을 위한 한국문학의 모색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13,
pp.5-37)
-
26
-
「토끼전」의 동화화 과정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우리말교육현장연구,
v.6,
2012,
pp.33-54)
-
27
-
문제제기를 통한 古小說 敎育의 방향과 시각 -『고등학교 국어』 교과서 소재 ⟨九雲夢⟩·⟨春香傳⟩·⟨興夫傳⟩을 중심으로-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01,
pp.415-444)
-
28
-
근대 초기 고소설의 轉變 양상과 談論化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13,
pp.5-40)
-
29
-
李鈺 傳의 시정세태 묘사와 諷刺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漢文敎育論集,
v.23,
2004,
pp.271-291)
-
30
-
지방대학 '國語國文學科'의 개편과 전망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4,
pp.37-6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