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3건 중 93건 출력
, 3/10 페이지
-
21
-
조선후기 천문역산학의 개혁 방안: 정조의 천문책에 대한 대책을 중심으로
-
구만옥;
;
(한국과학사학회지,
v.28,
2006,
pp.189-225)
-
22
-
朝鮮後期 ‘儀象’ 改修論의 推移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08,
pp.255-304)
-
23
-
柳僖(1773∼1837)의 天文曆法論에 대한 再檢討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진단학보,
v.0,
2013,
pp.245-277)
-
24
-
조선후기 천문역산학의 주요 쟁점: 황윤석(黃胤錫, 1729-1791)의 『이재난고(頤齋亂藁)』 를 중심으로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한국과학사학회지,
v.31,
2009,
pp.65-102)
-
25
-
서평 - 김영식, 『정약용의 문제들』 (혜안, 2014), 304쪽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한국과학사학회지,
v.37,
2015,
pp.387-389)
-
26
-
성해응(成海應, 1760-1839)의 조석설(潮汐說)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한국과학사학회지,
v.36,
2014,
pp.357-390)
-
27
-
How Did a Confucian Scholar in Late Joseon Korea Study Mathematics? HWANG Yunseok 黃胤錫 (1729-1791) and the Mathematicians of Late Eighteenth-Century Seoul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한국과학사학회지,
v.34,
2012,
pp.257-286)
-
28
-
朝鮮後期 ‘儀象’ 改修論의 推移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08,
pp.255-304)
-
29
-
조선왕조의 집권체제와 과학기술정책-조선전기 천문역산학의 정비 과정을 중심으로-
-
구만옥;
연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04,
pp.219-272)
-
30
-
세종, 조선 과학의 범형(範型)을 구축하다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한국과학사학회지,
v.35,
2013,
pp.203-22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