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1990년대 여성소설과 여성적 글쓰기: 공지영과 공선옥을 중심으로
-
이양숙;
서울시립대학교;
(인문사회과학연구,
v.31,
2023,
pp.222-243)
-
22
-
스님 아빠
-
공선옥;
;
(창비어린이,
v.3,
2005,
pp.107-114)
-
23
-
청소년소설의 수준을 격상시킨 소설집 - 공선옥 외 6인 청소년소설집 『파란 아이』 창비 2013
-
이상석;
;
(창비어린이,
v.11,
2013,
pp.256-258)
-
24
-
공선옥 소설의 ‘타자성’ 연구
-
이대영;
한밭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06,
pp.271-293)
-
25
-
2010년대 이후 장애 여성 소설에 나타난 자기 돌봄의 정치성 – 김미선, 공선옥, 김초엽을 중심으로
-
박찬효;
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24,
pp.10-35)
-
26
-
라면은 멋있다
-
공선옥;
;
(창비어린이,
v.6,
2008,
pp.136-152)
-
27
-
신년수상 - 신년단상
-
공선옥;
소설가;
(石油協會報 = KPA journal,
v.2001,
2001,
pp.86-87)
-
28.
- 낭독극을 활용한 소설 내면화 방안 연구 : 공선옥 「일가」를 대상으로
- 김혜영
-
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, 74 p., 2023
-
29
-
1990년대 여성소설과 여성적 글쓰기: 공지영과 공선옥을 중심으로
-
이양숙;
서울시립대학교;
(인문사회과학연구,
v.31,
2023,
pp.222-243)
-
30
-
공선옥의 『폐경전야』와 김훈의 『언니의 폐경』의 상호텍스트성 연구
-
유진아;
신라대학교;
(인문사회과학연구,
v.15,
2014,
pp.117-14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