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67건 중 267건 출력
, 3/27 페이지
-
21
-
White 착시 현상과 고전적 밝기 동화 현상의 밝기 지각 비교
-
정지연;
정우현;
충북대학교;
충북대학교;
(한국심리학회지: 인지 및 생물,
v.35,
2023,
pp.57-70)
-
22
-
일본 고전문학의 근대 대중화 양상과 국민동화—시마즈 히사모토(島津久基)의『일본국민동화12강』을 중심으로—
-
조은애;
숭실대학교;
(일본연구,
v.0,
2018,
pp.231-257)
-
23
-
페트루솁스카야의 『진짜 동화』 속 고전의 ‘변용’과 ‘다시-쓰기’ -「코 아가씨」와 빌헬름 하우프의 『난쟁이 코』의 비교를 중심으로
-
김혜영;
연세대학교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22,
pp.27-52)
-
24
-
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에서의 고전문학 작품 비교 연구 -전래 동화를 중심으로-
-
김서형;
경기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3,
pp.113-139)
-
25
-
고전의 동화적 재생산을 통한 표현교육 연구 -⟨심청전⟩과 ⟨청아 청아 예쁜 청아⟩를 중심으로-
-
서유경;
한국교육학술정보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04,
pp.89-110)
-
26.
- 동화애니메이션《슈렉》연구
- 심예
-
건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79, 2013
-
27
-
고전동화에 나타난 원형적 욕망과 환상의 이미지 분석: 「숲속의 잠자는 공주」, 「백설 공주」와 「라푼젤」을 중심으로
-
이영준;
한남대학교;
(현대영어영문학,
v.57,
2013,
pp.151-175)
-
28.
- 한국어 교육에서 고전문학 작품 제시 양상 연구
- 손양숙
-
세종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81, 2021
-
29
-
유럽중심주의와 고전으로서의 서양 동화의 성립 - 반영과 왜곡, 전유와 창조 사이의 「잠자는 숲속의 미녀」
-
이송이;
한국해양대학교;
(한국프랑스학논집,
v.65,
2009,
pp.139-162)
-
30
-
페트루솁스카야의 『진짜 동화』 속 고전의 ‘변용’과 ‘다시-쓰기’ -「코 아가씨」와 빌헬름 하우프의 『난쟁이 코』의 비교를 중심으로
-
김혜영;
연세대학교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22,
pp.27-5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