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5건 중 105건 출력
, 3/11 페이지
-
21
-
근대도시 생활문화사 연구 방법론의 개척(고석규, 2004, 『근대도시 목포의 역사, 공간, 문화』, 서울대 출판부)
-
박찬승;
;
(지방사와 지방문화 =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,
v.7,
2004,
pp.355-363)
-
22
-
(서평)근대도시 생활문화사 연구 방법론의 개척(고석규, <근대도시 목포의 역사, 공간, 문화>)
-
박찬승;
;
(지방사와 지방문화,
v.7,
2004,
pp.355-363)
-
23
-
전후의 비평 방법론에 대한 반성과 모색 ‑ 고석규를 중심으로
-
최호빈;
고려대학교;
(한성어문학,
v.43,
2020,
pp.1-32)
-
24
-
1950년대 고석규 시 연구
-
하상일;
부산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8,
2004,
pp.359-379)
-
25
-
<기년아람>에 나타난 이만운의 역사인식
-
고석규;
;
(韓國文化,
v.8,
1987,
pp.73-102)
-
26
-
고석규의 죽음의 세계와 여백의 사상
-
정원숙;
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15,
pp.205-234)
-
27
-
《19세기 조선의 향촌사회연구-지배와 저항의 구조》(고석규, 1998, 서울대출판부)
-
吳永敎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1998,
1998,
pp.226-232)
-
28.
- 전후 한국 현대시의 모더니즘 전개 양상 연구 : 김규동·송욱·고석규의 초기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
- 임경섭
-
경희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10 p.p, 2018
-
29
-
지역문화콘텐츠 개발사례 - 전남지역을 중심으로
-
고석규;
;
(인문콘텐츠 = Humanities contens,
v.2006,
2006,
pp.109-125)
-
30
-
조선시기 표류경험의 기록과 활용
-
고석규;
;
(島嶼文化,
v.31,
2008,
pp.3-3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