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.
- 자동차 중심 사회에서 걷기의 사회적 의미 : 제주지역 걷기 양상 분석을 중심으로
- 김태연
-
제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57 p., 2019
-
22.
- 걷기의 배움학적 의미 연구
- 하지영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124 p., 2012
-
23
-
국내 도보여행코스의 형태별 분류
-
양지혜;
김한일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(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,
v.2012,
2012,
pp.219-220)
-
24
-
하이네 오마주로서의 하르츠 여행 – 로젠뢰허와 쿨릭/바그너의 ‘하르츠 여행’을 중심으로
-
정명순;
전남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62,
2021,
pp.243-265)
-
25
-
지도 바깥의 여행, 유동하는 장소성-2000년대 여행서사의 장소 전유 방식-
-
임정연;
안양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18,
pp.217-239)
-
26.
- 수변산책로에서 경험되는 경관 선호와 미적 속성에 관한 연구 : 장성호와 담양호 수변산책로를 중시으로
- 오미영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86 p., 2022
-
27.
- 플레이스 브랜딩을 위한 제주시 원도심의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
- 성용석
-
영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93 p., 2020
-
28.
- 걷기에 의한 심상의 표현연구
- 이향희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52 p., 2008
-
29.
- 도보여행로 이용자의 이용선호요소에 관한 연구 : 제주올레를 중심으로
- 조찬희
-
한양대학교, 국내석사,
, 2015
-
30.
- 삼둔길 생태문화탐방로 통과마을의 편의시설 활용도 증대 방안
- 정원일
-
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22 p., 20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