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근대 조선인의 만주 기행문 생성 공간 - 1920-1930년대를 중심으로 -
-
허경진;
강혜종;
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11,
pp.239-269)
-
22
-
『조선환여승람(朝鮮寰輿勝覽)』의 상업적 출판과 전통적 가치 계승 문제
-
허경진;
강혜종;
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12,
pp.235-260)
-
23
-
『奏議纂要』연구 – 조선시대 奏議文의 편집 양상 및 편찬 맥락 고찰을 중심으로
-
강혜종;
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근대한국학연구소;
(어문연구(語文硏究),
v.51,
2023,
pp.177-214)
-
24
-
玩易齋 姜碩德의 詩世界
-
강혜종;
연세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16,
pp.141-170)
-
25
-
화예조형에 있어 상징에 관한 연구
-
강혜종;
숙명여자대학교;
(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,
v.0,
2007,
pp.33-56)
-
26
-
20세기 ‘국제도시’의 기억
-
강혜종;
연세대학교;
(중국학논총,
v.0,
2011,
pp.97-119)
-
27
-
‘공감역학(共感力學)’의 장(場), 조선후기 판례집의 내러티브
-
강혜종;
연세대학교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13,
pp.409-447)
-
28
-
20세기 여성 문사에 대한 사회적 시선과여성의 사회 참여 방식 -『송설당집(松雪堂集)』과 『소파여사시집(小坡女士詩集)』을 중심으로-
-
강혜종;
연세대학교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10,
pp.173-206)
-
29
-
「환희기(幻戱記)」 재론(再論) ― 연암(燕巖)의 정치적 알레고리(allegory) 분석의 일고(一考)
-
강혜종;
연세대학교;
(영주어문,
v.24,
2012,
pp.161-187)
-
30
-
復齋 李彙濬 「三政策」의 서술 양상과 경세론
-
강혜종;
연세대학교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20,
pp.423-45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