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후기 구석기시대 ‘쐐기(pièce esquillée)’의 형태와 기능에 대한 試論
-
최승엽;
강원문화재연구소;
(백산학보,
v.0,
2015,
pp.5-31)
-
22
-
원주 송호동 후기구석기 유적의 기능과 밀개 연구
-
최승엽;
강원문화재연구소;
(백산학보,
v.0,
2016,
pp.5-30)
-
23
-
북한강과 그 지류 하천의 하안단구 지형과 구석기유적 분포
-
최승엽;
강원문화재연구소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17,
pp.415-437)
-
24
-
北漢江流域 靑銅器時代 住居 類型과 中期 設定 試論
-
金權中;
강원문화재연구소;
(문화사학,
v.0,
2004,
pp.7-38)
-
25
-
강원도 청동기문화 전개에 있어서 조기문제의 제기
-
최종모;
강원문화재연구소;
(고고학,
v.9,
2010,
pp.5-30)
-
26
-
江陵地域의 新羅化 過程
-
李昌鉉;
강원문화재연구소;
(문화사학,
v.0,
2006,
pp.67-86)
-
27
-
강원지역의 중·후기 구석기시대 자연환경
-
최승엽;
강원문화재연구소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11,
pp.303-336)
-
28
-
강원지역 구석기 유물군의 변화에 대한 연구
-
최승엽;
강원문화재연구소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10,
pp.319-342)
-
29
-
羅末麗初期 강원지방 평기와 연구
-
박동호;
강원문화재연구소;
(선사와 고대,
v.0,
2011,
pp.249-277)
-
30
-
鏡浦湖 周邊의 鐵器 및 新羅時代의 住居址考
-
池賢炳;
강원문화재연구소;
(문화사학,
v.0,
2004,
pp.91-11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