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한국민요학의 문제의식 추이와 경기도 민요연구의 과제
-
강등학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30,
2010,
pp.7-39)
-
22
-
[종합토론] 이창배의 민요 사설 정리 작업에 내재된 시각과 의미
-
강등학;
;
(韓國傳統音樂學,
v.2013,
2013,
pp.305-308)
-
23
-
아리랑의 형질전승과 문화적 실천의 문제
-
강등학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31,
2011,
pp.7-46)
-
24
-
아리랑의 부류별 국면과 문화형질의 전승맥락
-
강등학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35,
2012,
pp.7-32)
-
25
-
정선아라리의 민요생태와 문화적 의미
-
강등학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23,
2008,
pp.257-288)
-
26
-
"고혜경(高惠卿) 저(著), 전통민요(傳統民謠) 사설(辭說)의 시적(詩的) 성격(性格) 연구(硏究)
-
강등학;
;
(국어국문학,
v.105,
1991,
pp.262-263)
-
27
-
한ㆍ중 논농사요의 기초적 문제 비교연구(1): 존재양상과 문학적 상황 - 중국 호북성(湖北省)과 안휘성(安徽省)을 중심으로
-
강등학;
김영운;
김예풍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15,
2004,
pp.21-68)
-
28
-
한ㆍ중 논농사요의 기초적 문제 비교 연구(2) : 음악적 상황 - 중국 안휘성과 호북성을 중심으로
-
김영운;
강등학;
김예풍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15,
2004,
pp.69-107)
-
29.
- 정선아리랑의 장르수행에 관한 연구
- 강등학
-
성균관대학교, 국내박사,
205p., 1987
-
30.
- 儒理王代 兜率歌 硏究
- 강등학
-
成均館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53 p., 197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