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〈문장풍류삼대록〉에 나타난 소설의 역사 수용 양상
-
이지영;
;
(藏書閣 = Journal of Jangseogak archives,
v.19,
2008,
pp.197-222)
-
22
-
A study on Sou Dongpo’s Epistles in『Guseosugan』centered on the periods of Huizhou and Danzhou
-
Yoo, Mi-joung;
;
(中國人文科學,
v.75,
2020,
pp.283-310)
-
23.
- 소동파 폄적시기 생활양상과 사유방식 연구
- 강영매
-
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100 p., 2014
-
24
-
운각필서체자본 「四大家文抄」의 편성체계와 영향관계에 관한 검토
-
오유경;
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;
(서지학연구,
v.0,
2022,
pp.167-198)
-
25
-
明末清初三戴笠小考——蘇州、杭州及揚州三遺民戴笠考
-
황쩐씽;
전남대학교;
(건지인문학,
v.0,
2024,
pp.225-251)
-
26
-
蘇東坡〈赤壁賦〉對朝鮮漢詩的影響
-
金周淳;
;
(中國文化硏究 = The Journal of Chinese culture research,
v.16,
2010,
pp.131-148)
-
27
-
왕유(王維)의 회화와 시가 - 〈망천도(輞川圖)〉와 〈망천집(輞川集)〉을 중심으로
-
김창경;
;
(동북아문화연구 = Journal of north-east asian cultures,
v.21,
2009,
pp.299-313)
-
28
-
蘇軾의 詩畵書 一律相通論 小考 - 東坡題跋을 중심으로
-
박순철;
;
(中國人文科學,
v.37,
2007,
pp.327-350)
-
29
-
西浦小說 성립의 배경 연구 - 蘇東坡 同一化樣相과 『서포만필』ᆞ『서포집』소재逸話ᆞ詩話를 중심으로 -
-
박성재;
경상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16,
pp.79-120)
-
30
-
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dongpo and his friends
-
Yu, Mi-jong;
;
(中國人文科學,
v.77,
2021,
pp.109-13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