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41건 중 141건 출력
, 3/15 페이지
-
21.
- 甲骨卜辭에 나타난 商代 統治階級文化 硏究
- 윤창준
-
延世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viii, 310 p., 2002
-
22
-
《世說新語》를 통해 본 소통의 미학
-
박경희;
숙명여자대학교;
(중국문화연구,
v.0,
2010,
pp.147-186)
-
23
-
「書く」・「置く」を述語とする「AガVラレテイル」文と 「AガVテアル文」の意味特徴の比較 -日本語教育の側面から-
-
배은정;
부산외국어대학교;
(일어일문학,
v.0,
2009,
pp.137-157)
-
24
-
전후의 장혁주문학
-
신승모;
;
(일본언어문화,
v.0,
2008,
pp.317-333)
-
25
-
일본IT기업에 취업하기 위한 접근법 고찰 -사례 중심으로 방법론적인 고찰-
-
전유선;
한밭대학교;
(日本文化學報,
v.0,
2010,
pp.233-258)
-
26
-
章士釗의 早期 言論活動과 政治思想 - 『蘇報』와 『國民日日報』 時期를 中心으로 -
-
이상구;
復旦大學;
(대구사학,
v.119,
2015,
pp.357-392)
-
27.
- 청말·민국 시기 역사·지리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인식의 변화
- 이빈빈
-
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, 국내석사,
, 2020
-
28.
- 『이아주소(爾雅注疏)』에 나타난 동의어의 의미변화 연구
- 왕일리
-
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ii,78p, 2020
-
29
-
<부름> 받은 여자들 - 최정희의 「幻の兵士」와 사타 이네코의 「気づかざりき」의 ‘응답’
-
명혜영;
전남대학교;
(日本文化學報,
v.0,
2009,
pp.97-118)
-
30
-
《左傳》接受與貞觀視角———以《群書治要》截録“華元食士”爲例
-
張 瑞麟;
林 朝成;
;
(人文中國學報,
v.,
2022,
pp.71-11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