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.
- 古文尙書에 대한 朝鮮時代 학자들의 認識과 考辨
- 陳亦伶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i, 227 p., 2016
-
22
-
王船山과 丁茶山의 『大學』이해 비교 — ‘明德’ 이해를 중심으로 —
-
진성수;
성균관대학교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08,
pp.281-306)
-
23
-
鮑照의 <代白頭吟>시에 대하여
-
송영정;
계명대학교;
(중국어문학,
v.0,
2008,
pp.201-224)
-
24.
- 顔元 人性論의 實踐志向的 特性
- 안동교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15p., 2001
-
25
-
淸代 ‘懷慶藥商’의 商業 活動과 네트워크 形成 ― ‘協盛全’과 ‘杜盛興'을 中心으로 ―
-
이민호;
한국한의학연구원;
(명청사연구,
v.0,
2011,
pp.313-337)
-
26
-
明末⋅淸初 考證學의 淵源 考察 − 黃宗羲⋅顧炎武⋅王夫之를 중심으로 −
-
진성수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12,
pp.203-236)
-
27
-
120회본 《홍루몽》의 의의와 서사 구조
-
홍상훈;
인제대학교;
(중국문학,
v.71,
2012,
pp.95-121)
-
28.
- A study of korean and chinese poetess’ chinese poetry literature
- 자이민
-
강남대학교, 국내박사,
iii, 200 p., 2017
-
29
-
시바 료타로(司馬遼太郎)의 메이지(明治)국가론―『언덕위의 구름(坂の上の雲)』의 역사서술방법을 중심으로 ―
-
이복임;
한남대학교;
(日本文化學報,
v.0,
2010,
pp.231-252)
-
30.
- 19世紀東アジアにおける科學槪念と自然觀の變容 :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of Science and of the View of Nature in Nineteenth-Century East Asia
- 김성근
-
東京大學大學院 綜合文化硏究科, 국외박사,
iv, 213p., 200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