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23건 중 323건 출력
, 29/33 페이지
-
281
-
불안, 시간 그리고 존재 – 티크의 작품을 중심으로
-
김길웅;
성신여자대학교;
(독일언어문학,
v.0,
2019,
pp.45-65)
-
282
-
브레히트의 시에 나타난 죽음
-
김길웅;
성신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17,
pp.31-49)
-
283
-
근대와 권태(1): 독일 근대 문학 분석을 위한 시론
-
김길웅;
성신여자대학교;
(독일언어문학,
v.0,
2018,
pp.181-205)
-
284
-
두루미와 구름 - 브레히트의 시에 나타난 사랑
-
김길웅;
성신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19,
pp.57-79)
-
285
-
고대의 인륜성과 근대의 주체성: 헤겔의 비극론을 중심으로
-
김길웅;
성신여자대학교;
(人文科學硏究,
v.47,
2023,
pp.143-167)
-
286
-
브레히트의 시에 나타난 사물화된 사회에서의 사랑
-
김길웅;
성신여자대학교;
(독일언어문학,
v.0,
2021,
pp.25-45)
-
287
-
문명화와 수치심: 타자 강요와 실패한 저항 그리고성찰적 의식을 중심으로
-
김길웅;
성신여자대학교;
(독일현대문학,
v.0,
2022,
pp.71-90)
-
288
-
브레히트의 후기시의 원형으로서의 북유럽 망명시절의 시
-
김길웅;
성신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20,
pp.7-25)
-
289
-
수치심과 규범: 슈니츨러의 ⟨꿈의 노벨레⟩를 중심으로
-
김길웅;
성신여자대학교;
(독일언어문학,
v.0,
2021,
pp.121-140)
-
290
-
인문학의 미래와 전망: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를 중심으로
-
김길웅;
성신여대;
(人文科學硏究,
v.48,
2023,
pp.131-14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