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,551건 중 1,000건 출력
, 27/100 페이지
-
261
-
퇴계 성리학의 특수성 - 함양론을 중심으로 -
-
전성건;
안동대학교;
(유학연구,
v.70,
2025,
pp.31-54)
-
262
-
성리학 형성 과정에 나타난 禪 불교의 영향 - 道南學과 湖湘學을 중심으로 -
-
김제란;
동국대학교;
(한국불교학,
v.0,
2004,
pp.133-162)
-
263
-
From ‘Frontiering through Return to the Root’s Point of View on Neo-Confucianism’s Thoughts of Ethics Education
-
Kim , Kee-Hyeon;
;
(윤리교육연구=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,
v.47,
2018,
pp.33-61)
-
264
-
道學과 正學의 관점에서 본 대구권 성리학
-
장윤수;
대구교육대학교;
(영남학,
v.0,
2023,
pp.7-38)
-
265
-
Social Philosophical Analysis of l-yi-fen-shu
-
Lee, Seung-hwan;
;
(哲學硏究 = Philosophical studies,
v.57,
2018,
pp.1-32)
-
266
-
성리학적 심신관계론
-
임헌규;
강남대학교;
(영남학,
v.0,
2009,
pp.405-437)
-
267
-
조선 성리학의 논리적 특성
-
유원기;
계명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09,
pp.45-68)
-
268
-
성리학의 몸공부 이해
-
신동은;
한양대학교;
(교육철학연구,
v.0,
2004,
pp.123-144)
-
269
-
조선 성리학자들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 검토(3)
-
김희영;
김민재;
김용재;
;
(양명학,
v.0,
2020,
pp.41-67)
-
270
-
송대 성리학의 효 사상 이해 - 『근사록』을 중심으로 -
-
김덕균;
성산효대학원대학교;
(유학연구,
v.25,
2011,
pp.197-22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