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,644건 중 1,000건 출력
, 27/100 페이지
-
261.
- 한·중 재난영화에 나타난 문화적 차이와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: <부산행>과 <대지진>을 중심으로
- 갈동동
-
건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64, 2019
-
262
-
영국의 문화유산 산업(Heritage Industry)과 역사 인식 - 1980년대 헤리티지 영화(Heritage Film)
-
Park, Wooryong;
;
(中央史論,
v.38,
2013,
pp.271-304)
-
263
-
‘Proposing a New Reading of Film,’ or Formulating a Critical Cinephila -On the Activities of munhwahaggyo-seoul [Cultural Institute Seoul] in the 1990s’ Korean Film Culture
-
이선주;
;
(영화연구= Film studies,
v.59,
2014,
pp.223-252)
-
264
-
한국 영화의 문화 브랜딩적 함의 및 전략 - 영국에서의 한국 영화 브랜딩을 예로 하여
-
오장근;
;
(기호학 연구,
v.23,
2008,
pp.353-378)
-
265
-
마틴 스콜세지의 영화적 특성과 미국문화 - 주요 작품의 표현과 서사 방식을 중심으로
-
연동원;
;
(美國史硏究 = Studies in American history,
v.27,
2008,
pp.187-207)
-
266
-
탈냉전 시기 ‘타이완’의 문화적 정체성 - 타이완 영화 『시이딕 발레』를 중심으로
-
김정수;
;
(中國 現代 文學 = The Journal of Modern Chinese Literature,
v.2013,
2013,
pp.87-115)
-
267.
- 한국 영화의 아랍어 자막에서 나타난 문화소 번역 전략 연구:영화 <리틀 포레스트>를 중심으로
- 김지아
-
단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100p., 2024
-
268
-
영화 <북경반점>에 내제된 자장면의 문화사적 의미
-
김태희;
고려대학교;
(한국연구,
v.0,
2021,
pp.87-109)
-
269
-
통일 문화 형성을 위한 남ㆍ북한 영화 속의 여성상 비교 연구
-
임혜경;
신희선;
;
(아세아여성연구 = Journal of Asian women,
v.39,
2000,
pp.251-336)
-
270.
- 영화<그때 그사람들>이 '인터넷 문화 공론장'의 형성과 발전에 미치는 영향
- 박영미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ⅳ, 66 p., 200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