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74건 중 274건 출력
, 26/28 페이지
-
251
-
Disulfiram치료 후 발생한 가역운동신경병
-
박선우;
송숙근;
이정석;
최재철;
강지훈;
강사윤;
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신경과학교실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(대한신경과학회지,
v.32,
2014,
pp.225-227)
-
252
-
선천외경-내경동맥 문합
-
김중구;
강철후;
강지훈;
이정석;
송숙근;
최재철;
제주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;
제주대학교 의과대학 제주대학교병원 신경과학교실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(대한신경과학회지,
v.32,
2014,
pp.88-90)
-
253
-
80세 이상 급성기 허혈뇌졸중 환자에서 정맥내 혈전 용해 치료를 결정하는데 연관된 요인
-
정민경;
김예림;
김여진;
오미선;
유경호;
이병철;
이주헌;
권지현;
권순억;
허성혁;
최재철;
권형민;
박종무;
김응규;
나정호;
박희권;
배희준;
한문구;
홍근식;
조용진;
박만석;
조기현;
김한영;
이준영;
김동억;
이수주;
이경복;
박태환;
차명진;
허지회;
;
(대한뇌졸중학회지,
v.13,
2011,
pp.79-84)
-
254
-
Intravenous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Improves the Outcome in Very Elderly Korean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
-
최재철;
이진성;
박태환;
박상순;
조용진;
박종무;
강규식;
이경복;
이수주;
고용채;
김재국;
이준;
조기현;
김준태;
유경호;
이병철;
오미선;
최재관;
김대현;
나현욱;
김동억;
류위선;
김범준;
배희준;
김욱주;
신동익;
여민주;
손성일;
홍정호;
이준영;
;
(대한뇌졸중학회지,
v.17,
2015,
pp.327-335)
-
255
-
ABO 불일치로 발견된 13세 여아에서의 무감마글로불린혈증 1예
-
박태성;
오승환;
최재철;
김형회;
박재홍;
이은엽;
손한철;
부산대학교;
인제대학교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(Annals of Laboratory Medicine,
v.22,
2002,
pp.364-366)
-
256
-
양성 기도협착질환에서 실리콘 기도스텐트의 임상경험 -Dumon 스텐트와 Natural 스텐트의 비교-
-
서수원;
김진국;
김호중;
류연주;
유창민;
최재철;
권용수;
성균관대학교;
삼성서울병원;
성균관대학교;
성균관대학교;
성균관대학교;
성균관대학교;
성균관대학교;
(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,
v.59,
2005,
pp.8-68)
-
257
-
위암환자에서 혈청 p53 항체 및 p53 단백 발현과 예후와의 관련성
-
오승환;
최재철;
박태성;
김형회;
이은엽;
김해영;
설미영;
인제대학교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(Annals of Laboratory Medicine,
v.24,
2004,
pp.15-21)
-
258
-
수혈력이 없는 젊은 남자에서 발견된 항-Xga 항체 1예
-
박태성;
오승환;
최재철;
김형회;
장철훈;
이은엽;
손한철;
부산대학교;
인제대학교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(Annals of Laboratory Medicine,
v.22,
2002,
pp.437-440)
-
259
-
카다실 환자에서 뇌졸중발생 유무에 따른 임상증상과 뇌자기공명영상소견의 차이
-
이정석;
최재철;
강사윤;
송숙근;
강지훈;
송정국;
나해리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병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보바스 기념병원 신경과;
(대한신경과학회지,
v.30,
2012,
pp.93-99)
-
260
-
자기공명영상에서 특징적 근육 침범을 보이는 중심핵병
-
김지영;
김중구;
이재영;
강지훈;
최재철;
이정석;
강사윤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(대한신경과학회지,
v.29,
2011,
pp.31-3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