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,551건 중 1,000건 출력
, 26/100 페이지
-
251
-
윤지당의 성리학적 특징 고찰
-
안유경;
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;
(연민학지,
v.41,
2024,
pp.517-550)
-
252
-
특집:원간섭기 유교지식인의 사상적 지형/원간섭기 성리학자들의 화이관과 국가관
-
채웅석;
;
(역사와 현실,
v.49,
2003,
pp.99-124)
-
253
-
Perspective on Good and Evil and Historical Self-consciousness of Yi Hangno -A Neo-Confucian Project to form Historical Subjects-
-
Bae, Je-Seong;
;
(哲學 = Korean journal of philosophy,
v.150,
2022,
pp.23-51)
-
254
-
[이 책을 말한다] 『주역』의 성리학적 이해를 지양ㆍ극복한 정약용의 『周易四箋』
-
조장연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10,
2004,
pp.213-221)
-
255
-
The Influence of Mencius and The Understanding of Neo-Confucianism expressed in the Jeong Do-jeon’s Criticism of Buddhism
-
LEE, Hyun-Sun;
;
(大同哲學= Daedong chulhak,
v.83,
2018,
pp.129-147)
-
256
-
주희 성리학에서의 소이연과 소당연의 도덕 실재적 함의
-
이재룡;
충북대학교;
(법학논총,
v.34,
2010,
pp.95-124)
-
257
-
한강 정구의 성리학 체계와 연원에 관한 소고 - 천리와 인욕의 대립 구조와 “靜中有物”의 의미를 중심으로
-
Jung DoeWon,;
;
(韓國學論集,
v.48,
2012,
pp.23-53)
-
258
-
성리학과 지행문제
-
이인철;
경북대학교;
(교육철학,
v.0,
2016,
pp.105-141)
-
259
-
성리학의 심적 도덕 체계에 대한 두뇌 신경 과학적 접근 -『북계자의(北溪字義)』와 다마지오(Damasio)의 이론을 중심으로-
-
길훈섭;
성균관대학교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17,
pp.139-171)
-
260
-
유교의 靈魂觀에 대한 분석적 고찰 -성리학을중심으로
-
김수청;
동아대학교;
(한국민족문화,
v.0,
2005,
pp.263-28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