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,551건 중 1,000건 출력
, 25/100 페이지
-
241
-
성리학 전통에 비친 대한민국의 건국
-
이영훈;
서울대학교;
(한국학,
v.32,
2009,
pp.31-57)
-
242
-
성리학적 초월의 탄생 -그림자 개념(shadow concept)에 대한 한 논평-
-
이향준;
;
(범한철학,
v.63,
2011,
pp.63-91)
-
243
-
맹자의 기론(氣論)과 율곡 성리학의 연관성 고찰
-
안유경;
;
(한국학,
v.45,
2022,
pp.259-290)
-
244.
- 성리학(性理學)의 선악론(善惡論)에 관한 연구 : 선(善)의 근원과 악(惡)의 발생에 관하여
- 서세영
-
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iii, 221 p., 2021
-
245
-
낙동강 중류지역의 학적 분포와 성리학의 특징: ‘낙중학’의 과제와 전망을 대신하여
-
추제협;
계명대학교;
(한국학논집,
v.0,
2021,
pp.73-98)
-
246
-
지친 성리학적 사유의 거울: 전우(田愚)와 외필논쟁(猥筆論爭)
-
이향준;
전남대학교;
(범한철학,
v.106,
2022,
pp.5-40)
-
247.
- 중국 송대 성리학의 공부론과 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 : S고등학교의 예를 중심으로
- 조영주
-
계명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ⅶ, 202, 2022
-
248
-
16세기 조선 성리학의 과학과 철학 - 天命圖 작성에 나타난 天人合一觀과 天文硏究의 관계
-
유권종;
;
(儒敎 思想 硏究,
v.17,
2002,
pp.133-158)
-
249
-
17세기 대구지역 성리학과 星州都氏 문중의 성리학자들
-
장윤수;
대구교육대학교;
(퇴계학논집,
v.0,
2019,
pp.267-302)
-
250
-
윤지당의 성리학적 특징 고찰
-
안유경;
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;
(연민학지,
v.41,
2024,
pp.517-55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