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,513건 중 1,000건 출력
, 25/100 페이지
-
241
-
나리타 류이치(成田龍一), 『고향이라는 이야기 - 도시공간의 역사학 -』(한일비교문화세미나 옮김, 동국대학교 출판부, 2007)
-
박, 진한;
;
(도시연구: 역사.사회.문화 = Korean journal of urban history,
v.1,
2009,
pp.245-247)
-
242.
- 문학지리학에 있어서 신문화지리 관점의 경관 독해: 『달콤한 나의 도시』를 사례로
- 오동훈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ⅴ, 88 p., 2017
-
243
-
[특집논문/대중문학, 대중문화] 1970년대 대중소설의 성격에 관한 연구-도시의 생태학, 그 좌절과 희망
-
정덕준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16,
2002,
pp.69-97)
-
244
-
도시브랜딩전략을 위한 도시디자인의 개념 -기호학 관점을 바탕으로-
-
윤지영;
카톨릭대학교;
(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,
v.17,
2011,
pp.468-481)
-
245
-
도시・지역학 전공 대졸자들의 취업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 방향
-
송명규;
단국대학교;
(부동산학보,
v.0,
2015,
pp.89-103)
-
246.
- 서울夏季氣溫의 都市氣候學的 硏究 : 幹線道路에 따른 觀測을 中心으로
- 박혜숙
-
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viii, 77p., 1982
-
247
-
근대 영국 도시주거 구성체계의 변천과정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- 근대 버밍엄 도시주거지의 외부공간 구성체계를 중심으로 - ( A Study on the Morphological Change of English Modern Urban Housing )
-
이경찬;
;
(大韓建築學會論文集 :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: Planning & design / 計劃系,
v.17,
2001,
pp.105-114)
-
248
-
新羅 王京의 地理學的 理解를 위한 基本 槪念의 檢討 -도시형태론과 도시체계론적 접근을 중심으로-
-
양정석;
수원대학교;
(역사와 담론,
v.0,
2016,
pp.193-230)
-
249
-
2016년 경주지진 원인단층의 시나리오 지진에 의한 국내 광역도시 지진관측소에서의 추계학적 강진동 모사
-
최호선;
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원자력안전연구실;
(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=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,
v.25,
2021,
pp.233-240)
-
250
-
지역학으로서의 독일어권 도시 연구
-
손은주;
목원대학교;
(독일현대문학,
v.0,
2004,
pp.352-37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