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98건 중 298건 출력
, 24/30 페이지
-
231
-
주자의 경권론(經權論)
-
박성규;
연세대학교;
(철학탐구,
v.48,
2017,
pp.67-90)
-
232
-
『맹자』의 위상 논의를 통해 본 조선조 경학관의 한 양상
-
장진엽;
성신여자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22,
pp.459-495)
-
233
-
당말唐末 도통의식 변화 양상 ―왕통王通의 도통의식을 중심으로-
-
이연정;
전북대학교;
(중국학논총,
v.0,
2022,
pp.289-306)
-
234.
- 조선전기 문론과 그 실천 양상 연구 : 도학(道學)적 문론과 그 실천을 중심으로
- 계영경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, 251 p., 2019
-
235.
- 중학교 유도 수련생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
- 이상렬
-
용인대학교, 국내석사,
iv, 66 p., 2007
-
236
-
淸末 開明專制論 新釋
-
김종윤;
전주대학교;
(중국학논총,
v.0,
2012,
pp.275-300)
-
237
-
Rumors and Rebellions, a Social Influence of Rumors in the Late Joseon Korea: Focused on the Relevant Cases of the Record of Jeonggam
-
koh song-hoon,;
;
(정신문화연구 = Korean studies quarterly,
v.35,
2012,
pp.55-85)
-
238
-
고려 중엽 한문 산문의 문체
-
김혈조;
영남대학교;
(漢文學報,
v.18,
2008,
pp.85-120)
-
239.
- 朝鮮後期 陸遊詩 受容 硏究
- 전연
-
韓國學中央硏究院, 국내박사,
vii, 220 p., 2017
-
240
-
星湖 經學의 몇 가지 문제 -『孟子疾書』를 중심으로-
-
권문봉;
원광대학교;
(漢文學報,
v.19,
2008,
pp.1153-117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