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63건 중 263건 출력
, 23/27 페이지
-
221
-
이야기 방식을 통한 북한 체제 정당화 연구-총서 "불멸의 력사"와 영화 조선의 별을 중심으로
-
전영선;
건국대학교;
(북한연구학회보,
v.13,
2009,
pp.173-192)
-
222
-
북한이탈주민과 한국인의 집단적 경계 만들기 또는 은밀한 적대감
-
전영선;
건국대학교;
(통일인문학,
v.58,
2014,
pp.99-126)
-
223
-
북한문학의 현재와 미래
-
전영선;
건국대학교;
(한국문학과 예술,
v.0,
2014,
pp.83-111)
-
224
-
북한의 식생활 전통 인식과 보호정책
-
전영선;
건국대학교;
(통일인문학,
v.89,
2022,
pp.195-226)
-
225
-
북한의 ‘우리 국가제일주의’와 국기(國旗) 콘텐츠를 활용한 문화예술
-
전영선;
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;
(국가안보와 전략,
v.21,
2021,
pp.161-188)
-
226
-
‘사회주의 미풍양속’과 ‘준법기풍’을 통해 본 북한의 문화 검열
-
전영선;
건국대학교;
(통일인문학,
v.84,
2020,
pp.43-70)
-
227
-
통일문제의 생태주의적 인식과 문화번역의 가능성
-
전영선;
건국대학교;
(통일인문학,
v.70,
2017,
pp.71-97)
-
228
-
북한의 아동영화 창작 지침과 교양 양상
-
전영선;
건국대학교;
(북한학보,
v.42,
2017,
pp.63-88)
-
229
-
로컬에서 힙한 장소의 공과(功過) - 제3의 장소로서 로컬 힙플레이스의 비/장소성 고찰
-
전영선;
전남대학교;
(도시인문학연구,
v.16,
2024,
pp.75-100)
-
230
-
김정은 시대 북한 공연예술의 현황과 특징
-
전영선;
건국대학교;
(통일과 평화,
v.15,
2023,
pp.89-11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