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,551건 중 1,000건 출력
, 23/100 페이지
-
221
-
성리학 관점에서의 소쇄원 조경요소 분석
-
박근범;
김진오;
경희대학교;
경희대학교;
(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,
v.10,
2024,
pp.272-282)
-
222
-
성리학에 기반한 인성교육의 가능성 탐색
-
박지혜;
북서울중학교;
(도덕윤리과교육,
v.0,
2015,
pp.185-204)
-
223
-
성리학의 경(敬)공부가 갖는 특수성에 관하여 ― 현대적 연구의 서설(序說)로서 ―
-
김기현;
전남대학교;
(도덕윤리과교육,
v.0,
2012,
pp.227-246)
-
224
-
程敏政 사상의 朱陸 和會的 특성과 조선 성리학자들의 반응
-
金洛眞;
;
(儒敎 思想 硏究,
v.31,
2008,
pp.253-285)
-
225
-
도덕실천의 동력(動力) 문제: 동아시아 성리학을 중심으로
-
高海波;
정종모;
清华大学 哲学系;
안동대학교;
(인문과 예술,
v.0,
2020,
pp.1-19)
-
226
-
조선시대 성리학 학파의 지역성과 문화권 - 三南 지역을 중심으로 -
-
이근호;
;
(한국학논총,
v.41,
2014,
pp.103-130)
-
227
-
생태주의의 인식론적 비교: 성리학과 운화론을 중심으로
-
김정태;
이성우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(농촌계획,
v.13,
2007,
pp.39-49)
-
228
-
The Implications and Outlooks of Korean Neo-Confucianism in the 20th Century: With a focus on Iljae Jeong Hong-chae
-
Seo, Young-yi;
;
(동방문화와 사상 = East asian culture and thought,
v.16,
2024,
pp.353-377)
-
229
-
불교비판에 나타난 성리학의 교육적 의의
-
박범석;
서울대학교;
(종교교육학연구,
v.13,
2001,
pp.175-200)
-
230
-
"이병혁(李炳赫) 저(著), 고려말(高麗末) 성리학(性理學) 수용기(受容期)의 한시(漢詩) 연구(硏究)
-
최신호;
;
(국어국문학,
v.102,
1989,
pp.373-37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