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,644건 중 1,000건 출력
, 22/100 페이지
-
211.
- 1980년대 이후 한·중 문화정책의 변화가 영화산업에 미친 영향과 의의
- 샤, 량위안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96 장, 2023
-
212
-
Representation of Memory and Cultural Memory Constructed in the Cinematic Space of Zhang Lu’s Film
-
Kang, Seung-Mook;
;
(씨네포럼 = Cineforum,
v.30,
2018,
pp.9-37)
-
213
-
문화 속의 책 - 영화<풀 몬티>와 핫도그가 그리고 쓴 '곰씨와 오리군'
-
박용두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339,
2004,
pp.151-151)
-
214
-
영화 《러시아 방주》에 나타난 메시아니즘적 역사관과 러시아문화의 정체성 모색
-
이희원;
;
(슬라브 학보,
v.20,
2005,
pp.217-239)
-
215.
- 영화 <기생충>을 활용한 한국 사회문화 교육 방안
- 전세계
-
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ⅱ, 74 p., 2021
-
216
-
포스트사회주의 시기 중국소수민족 영화를 통해본 소수민족 정체성과 문화정치 - 張律의 영화를 중심으로
-
임춘성;
;
(中國 現代 文學 = The Journal of Modern Chinese Literature,
v.2011,
2011,
pp.217-249)
-
217.
- 문화 격차 관점에서 바라본 수입 영화 포스터의 시각 기호 응용 연구 : 21세기 중국이 수입한 미국 영화 포스터를 중심으로
- 왕융
-
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219, 2022
-
218
-
Musical Propaganda in 1950s Korean Newsreel, ‘Global Imaginary of Integration’
-
Shin, Hye Seung;
;
(音樂論壇,
v.52,
2024,
pp.65-113)
-
219
-
지역 문화산업 기반으로서의 다양성영화
-
김나윤;
김상헌;
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;
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;
(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,
v.2013,
2013,
pp.351-352)
-
220
-
러시아에서의 한국문화 브랜드에 대한 분석-영화를 중심으로
-
이기주;
고려대학교;
(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,
v.0,
2006,
pp.335-35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