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58건 중 258건 출력
, 21/26 페이지
-
201
-
여장군소설 주인공의 역할 모델 연구
-
조용호;
목포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4,
pp.245-275)
-
202
-
「獻花歌」에서 성적 메시지의 전송과 응답 맥락에 대하여
-
조용호;
국립목포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24,
pp.275-308)
-
203
-
개화기소설과 문명 공간으로서의 바다
-
조용호;
목포대학교;
(시학과 언어학,
v.0,
2015,
pp.61-88)
-
204
-
숭산행원의 ‘오직 모를 뿐’의 교육적 의미
-
조용호;
거제상동초등학교;
(동아시아불교문화,
v.0,
2020,
pp.663-687)
-
205
-
丁酉再亂 포로 실기 속 한시에 투영된 화자 의식
-
조용호;
목포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9,
pp.133-180)
-
206
-
고전소설 속 서사적 지연의 제 양상
-
조용호;
목포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8,
pp.113-149)
-
207
-
⟨공무도하가⟩의 구전가요적 성격과 주제의식
-
조용호;
목포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20,
pp.247-288)
-
208
-
⟨정읍사⟩의 발화 맥락과 화자의 祈願에 대하여
-
조용호;
숭실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53,
2021,
pp.97-126)
-
209
-
養心堂 趙晟의 시 세계
-
조용호;
목포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22,
pp.193-233)
-
210
-
유학자의 덜어내는 마음공부: 황덕길의「 일성도(日省圖)」의 교육적 의미
-
조용호;
창원호계초등학교;
(마음공부,
v.0,
2024,
pp.37-6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