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58건 중 258건 출력
, 20/26 페이지
-
191
-
金光洙의 ⟨夢遊錄⟩ 硏究
-
조용호;
포천중문의과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01,
pp.357-395)
-
192
-
⟨황조가⟩의 求愛民謠的 성격
-
조용호;
목포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7,
pp.5-34)
-
193
-
충주지역 피리형가마의특징과 축조배경
-
조용호;
중앙문화재연구원;
(중앙고고연구,
v.0,
2011,
pp.77-113)
-
194
-
적극적 대중 포교가로서의 「祭亡妹歌」 연구
-
조용호;
목포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6,
pp.43-83)
-
195
-
개화기소설과 문명 공간으로서의 바다
-
조용호;
목포대학교;
(시학과 언어학,
v.0,
2015,
pp.61-88)
-
196
-
『南柯錄』硏究
-
조용호;
포천중문의과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6,
2002,
pp.355-389)
-
197
-
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교육,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?
-
조용호;
목포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4,
pp.5-40)
-
198
-
개화기 한문소설의 주제의식
-
조용호;
목포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6,
2002,
pp.215-248)
-
199
-
豊饒祈願노래로서의「龜旨歌」연구
-
조용호;
목포대학교;
(서강인문논총,
v.0,
2010,
pp.323-368)
-
200
-
「履霜曲」의 의미와 淫辭的 성격
-
조용호;
목포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09,
pp.141-17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