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46건 중 346건 출력
, 20/35 페이지
-
191
-
양식넙치, Paralichthys olivaceus에서 분리된 스쿠티카 섬모충 Philasterides dicentrarchi의 병원성
-
허문수;
이영돈;
이제희;
진창남;
강현실;
이창훈;
강선경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지방해양수산청;
제주대학교;
국립수산과학원;
제주대학교;
(한국어병학회지,
v.19,
2006,
pp.87-97)
-
192
-
Simultaneous deletion of floxed genes mediated by CaMKIIa-Cre in the brain and in male germ cells: application to conditional and conventional disruption of Goa
-
최찬일;
윤상필;
최정미;
김성수;
이영돈;
Lutz Birnbaumer;
서해영;
아주대학교;
아주대학교;
아주대학교;
아주대학교;
아주대학교;
환경보건과학연구소;
아주대학교;
(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,
v.46,
2014,
pp.1-8)
-
193
-
내분비교란 물질이 검정망둑 Tridentiger obscurus 난모세포 성숙에 미치는 영향
-
황인준;
백혜자;
박창범;
이영돈;
김형배;
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과;
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과;
제주대학교 해양과 환경연구소;
제주대학교 해양과 환경연구소;
강원도립대학 해양생물자원개발과;
(한국수산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,
v.2005,
2005,
pp.123-124)
-
194
-
Induction of Primary Male in Juvenile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by Immersion of 17α-Methyltestosterone
-
이치훈;
이영돈;
허상우;
백혜자;
노충환;
한상현;
;
(발생과 생식,
v.18,
2014,
pp.127-131)
-
195
-
흰점독가시치 (Siganus canaliculatus)의 생식소 발달 및 생식주기
-
황형규;
노섬;
이영돈;
박창범;
강용진;
이종하;
국립수산과학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국립수산과학원;
국립수산과학원;
(한국수산과학회지,
v.37,
2004,
pp.393-399)
-
196
-
양식넙치, Paralichthys olivaceus에서 분리된 Ciliate와 Cyst의 생활사를 갖는 스쿠티카섬모충의 생물학적 특성
-
진창남;
이영돈;
최우봉;
허문수;
강현실;
박근태;
이제희;
제주 해양수산청;
제주대학교;
동의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(한국어병학회지,
v.18,
2005,
pp.19-28)
-
197
-
Relevance of Light Spectra to Growth of the Rearing Tiger Puffer Takifugu rubripes
-
김병훈;
허성표;
허상우;
이치훈;
이영돈;
;
(발생과 생식,
v.20,
2016,
pp.23-29)
-
198
-
자바리, Epinephelus bruneus의 난발생 및 자ㆍ치어 형태 발달
-
송영보;
서종표;
지보근;
오성립;
이영돈;
제주대학교 해양과 환경연구소;
한라수산;
한라수산;
제주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;
제주대학교 해양과 환경연구소;
(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,
v.2003,
2003,
pp.61-61)
-
199
-
Possible Involvement of Photoperiodic Regulation in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of Fema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
-
김현철;
이치훈;
Sung Pyu Hur;
김병훈;
박준영;
이영돈;
국립수산과학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(발생과 생식,
v.19,
2015,
pp.11-17)
-
200
-
PAHs가 넙치 (Paralichthys olivaceus)의 초기 발생에 미치는 영향
-
문상희;
감상규;
이영돈;
나오수;
이민규;
제주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;
제주대학교 해양과학부;
제주대학교 해양과환경연구소;
제주대학교 대학원 수산생물학과;
부경대학교 화학공학부;
(한국환경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,
v.2003,
2003,
pp.411-41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