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,552건 중 1,000건 출력
, 20/100 페이지
-
191
-
고려 말 性理學 서적의 수용과 성리학적 문학 담론 양상 고찰
-
류화정;
부산대학교;
(동양한문학연구,
v.57,
2020,
pp.35-68)
-
192
-
奇正鎭과 田愚의 성리학적 쟁점과 鄭載圭의 성리설
-
김낙진;
진주교육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10,
pp.77-112)
-
193
-
율곡 이이의 『격몽요결』편찬과 성리학적 이념의 실천
-
이민경;
부산대학교;
(율곡학연구,
v.42,
2020,
pp.123-159)
-
194
-
조선 성리학자들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 검토(6)
-
전수연;
김민재;
김용재;
성신여자대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성신여자대학교;
(양명학,
v.0,
2021,
pp.103-135)
-
195
-
동서양 여성철학의 현장탐구:버지니아 울프의 페미니즘과 조선 임윤지당의 성리학 중심 비교 연구
-
김보희;
부경대학교;
(한국철학논집,
v.0,
2005,
pp.253-275)
-
196
-
지속적인 국가발전을 위한 부정부패 극복방안:조선왕조 성리학 근본주의 관점을 중심으로
-
윤기상;
국제대학;
(한국행정사학지,
v.0,
2007,
pp.119-152)
-
197
-
Thoughts on Physical Training of Yi Hwang and Yi I based on Neo-Confucianism
-
Kim, Mi Kyung;
Park, Yong Ho;
;
(한국사회체육학회지 =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,
v.57,
2014,
pp.221-232)
-
198
-
An Analysis on How Neo-Confucian Literary Views Influenced Lee Cheom in Korea: Focusing on His Rhetorical Expressions
-
Ryu, Hwa-Jeong;
;
(大東漢文學,
v.76,
2023,
pp.85-106)
-
199
-
성리학의 마음교육 이해와 현대 공교육에의 시사
-
황금중;
연세대학교;
(한국교육,
v.32,
2005,
pp.3-33)
-
200
-
19세기 어느 성리학자의 家作과 그 지향 - 金興洛家 사례
-
김건태;
;
(韓國文化,
v.55,
2011,
pp.115-15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