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‘규수작가’의 타협과 배반 - 한무숙과 강신재의 50~6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
-
박정애;
강원대학교;
(어문학,
v.0,
2006,
pp.471-498)
-
12
-
한무숙 소설에 나타난 병리적 징후와 여성주체 -1950~60년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-
-
임은희;
한양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3,
2009,
pp.389-420)
-
13.
- 한성준제 태평무의 계승·발전에 관한 연구 : 한영숙류를 중심으로
- 류수민
-
청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89, 2017
-
14.
- 高麗時代 度量衡制 硏究 : 結負制와 관련하여
- 이종봉
-
釜山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iii, 211 p., 1999
-
15.
- 한영숙류 태평무와 강선영류 태평무의 비교분석
- 김회숙
-
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34p., 2001
-
16.
- 한무숙 소설의 여성 주체 형성
- 김소린
-
명지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ⅳ, 84p., 2023
-
17.
- (The) study of the reign area of Shilla So-won town(西原京)
- 나경준
-
단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27p, 2000
-
18
-
조선시대 양반 여성의 삶에 대한 소설적 형상화-〈이사종의 아내〉, 《하얀 새》, 《불꽃의 자유혼 허난설헌》의 경우-
-
이동하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13,
2003,
pp.101-126)
-
19
-
조선시대 양반 여성의 삶에 대한 소설적 형상화-⟨이사종의 아내⟩,⟨⟨하얀 새⟩⟩, ⟨⟨불꽃의 자유혼⟩⟩의 경우
-
이동하;
서울시립대학교;
(한국현대문학연구,
v.0,
2003,
pp.101-128)
-
20.
- 崔錫鼎의 九數略에 나타난 數理思想과 유럽數學의 收容에 對한 考察
- 윤태주
-
慶北大學校, 국내석사,
68p., 198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