검색어 : 통합검색[Korean language --Rhetoric --Study and teaching]
-
11.
-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개발 연구
- 이진영
-
경희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113 p., 2008
-
12.
- 수사법을 활용한 한국어 속담 교육 방안 : - 교재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-
- Wu, Xiaoying
-
세종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39p., 2023
-
13.
- 한국어 교재 쓰기 과제의 구현 양상과 개선 방안
- 김언지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129 p., 2016
-
14
-
아랍어의 의미연구와 꾸란의 의미번역
-
공일주;
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;
(지중해지역연구,
v.23,
2021,
pp.1-41)
-
15.
- L1 글쓰기가 L2 글쓰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: 중국인 학습자의 논설문을 중심으로
- 정광모
-
영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6
-
16.
-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교육을 위한 학위논문의 장르 분석 연구:<선행연구> 부분을 중심으로
- 박수연
-
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viii,261 p., 2016
-
17
-
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언어 문화교육 연구- 언어 관련 속담을 중심으로 -
-
베. 히식자르갈;
;
(한국언어문화학,
v.6,
2009,
pp.213-233)
-
18.
- 한국어 교재에 반영된 俗談의 修辭 표현 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: 중국인 중·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
- 이주
-
中央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v, 108 p., 2019
-
19.
- 학습자 주도성 실현을 위한 국어 교육 담론의 재서술 연구
- 전현주
-
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192, 2025
-
20
-
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Folk Dramas: Focusing on “Talchum”(Mask Dance)
-
YANG,JI SUN,;
;
(정신문화연구 = Korean studies quarterly,
v.33,
2010,
pp.155-17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