검색어 : 통합검색[Ding und Raum]
-
11.
- 디지털 정보의 수사상 강제처분에 관한 연구
- 박세영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i, 180 p., 2021
-
12
-
피히테에 있어서 시간․공간의 발생론적 연역 - “개요”에서 칸트와의 방법론적 차이를 중심으로 -
-
권기환;
경희대학교;
(헤겔연구,
v.0,
2012,
pp.319-349)
-
13.
- Transzendentalphilosophie als Ontologie
- Han, Jakyoung
-
Königshausen & Neumann Würzburg, 국외박사,
259 p., 1988
-
14
-
칠리다와 하이데거 그리고 공간- 칠리다의 조각 작품에 대한 철학적 해석 -
-
김경미;
이유택;
계명대학교;
계명대학교;
(현대유럽철학연구,
v.0,
2014,
pp.1-36)
-
15
-
릴케의 『로댕론』에서 추상의 미학
-
박미리;
성균관대학교;
(괴테연구,
v.0,
2009,
pp.215-239)
-
16
-
릴케에게 있어서 “거울” 상징의 의미와 기능
-
김재혁;
;
(독일어문학,
v.16,
2008,
pp.67-90)
-
17
-
라이프니츠의 ‘무구별자 동일성의 원리’에 대한 칸트와 헤겔의 대응
-
조종화;
;
(헤겔연구,
v.0,
2011,
pp.155-194)
-
18
-
독일 절대시(絶代詩)의 시적 체험과선시(禪詩)의 시적 체험 -순수·참여문학에 대한 비문학적 논쟁을 중심으로
-
김인수;
강원대학교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15,
pp.51-96)
-
19
-
“세상이 아무리 신속하게 변해도…” −릴케의 『오르페우스에게 바치는 소네트』에 나타난 변화, 관계와 죽음의 문제
-
엄선애;
경성대학교;
(인문학논총,
v.15,
2010,
pp.89-114)
-
20
-
릴케의 『로댕론』에서 추상의 미학
-
박미리;
성균관대학교;
(괴테연구,
v.0,
2009,
pp.215-23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