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Validation of the 2009 TNM Classification for Renal Cell Carcinoma: Comparison with the 2002 TNM Classification by Concordance Index
-
이천우;
유달산;
박준수;
정인갑;
송채린;
홍준혁;
안한종;
김청수;
울산대학교;
서울아산병원울산대부설;
울산대학교;
울산대학교;
울산대학교;
울산대학교;
울산대학교;
울산대학교;
(Investigative and Clinical Urology,
v.52,
2011,
pp.524-530)
-
12.
- 동물 피부조직의 DNA 안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
- 강재원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30장, 2020
-
13
-
녹조류(Chlamydomonas pulsatilla)에 의한 염소소독부산물 생성과 그 특성
-
정용;
금희정;
김준성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메사추세츠주립대학;
(한국물환경학회지,
v.21,
2005,
pp.535-540)
-
14
-
우리나라 의과대학 교수의 현황
-
이윤성;
채수진;
신좌섭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(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,
v.16,
2004,
pp.269-280)
-
15
-
스트레쳐블 폴리머 디퓨저를 이용한 균질 레이저 디스플레이 해석
-
이재원;
이선봉;
최해운;
계명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과;
계명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과;
계명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과;
(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=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-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,
v.15,
2014,
pp.1-7)
-
16.
- CO2 capture and conversion with metal-organic framework-based materials : 금속-유기골격 구조체 기반의 물질을 활용한 CO2 흡착 및 전환
- 유동규
-
경북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v, 132 p., 2023
-
17
-
D-Dimer, ferritin, and lactate dehydrogenase (LDH) as predictors of mortality in hospitalized COVID-19 patients
-
Hanafi, Fierna D;
Esa, Tenri;
Nurulita, Asvin;
Mumang, Andi A;
;
(Journal of infection in developing countries,
v.18,
2024,
pp.S27-S32)
-
18.
- 濟州地域의 감자 겨울栽培法 確立과 Dejima 品種의 變異體 檢定
- 한원탁
-
濟州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x, 98 p., 2002
-
19
-
Chronic Treatment with Fluvastatin Improves Smooth Muscle Dilatory Function in Genetically Determined Hyperlipoproteinemia
-
Perings, Stefan Martin;
Grubert, Nike;
Kleinbongard, Petra;
Reinecke, Petra;
Schulz, Rainer;
Hermsen, Derik;
Willers, Reinhart;
Kelm, Malte;
From the *Department of Medicine, Division of Cardiology, Pulmonary Disease, and Angiology, †Division of Pathology Heinrich Heine University, Dü
sseldorf, and ‡Institute of Pathophysiology, University Essen, Germany;
§Institute for Clinical Chemistry and Laboratory Diagnostics, and Department of Statistical Computations at the Heinrich Heine University, Dü
sseldorf.;
(Journal of cardiovascular pharmacology,
v.43,
2004,
pp.183-190)
-
20.
- Neural network 모형을 이용한 적정 배차간격 효율성 해석에 관한 연구
- 이승준
-
경일대학교, 국내박사,
x, 140장, 200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