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韓國美術의 本質規定과 美學的 接近의 問題 - 柳宗悅과 高裕燮을 中心으로
-
김임수;
;
(東西文化 = Journal of the institute for cross-cultural studies,
v.20,
1988,
pp.183-203)
-
12
-
출가, 재가, 그리고 비승비속(非僧非俗) -야나기 무네요시(柳宗悅)의 『나무아미타불』 제17장을 중심으로-
-
김호성;
;
(불교연구,
v.0,
2017,
pp.251-287)
-
13
-
야나기 무네요시(柳宗悅)의 『나무아미타불』에 나타난 해석학적 眼目
-
김호성;
동국대학교;
(한국불교학,
v.0,
2015,
pp.255-287)
-
14
-
야나기 무네요시의 석굴암 인식 - 20세기초 일본인 지식인에 의한 최초의 석굴암론 -
-
강희정;
;
(진단학보,
v.0,
2010,
pp.191-215)
-
15.
- 20세기 한국회화에서의 전통론
- 박계리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vi, 424 p., 200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