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박종홍과 황장엽 그리고 다나베 하지메, 민족/국가로 녹아든 개인: 한반도 근대국가의 주체상
-
한승완;
이혜경;
국가안보전략연구원;
서울대학교;
(사회와 철학,
v.0,
2021,
pp.131-154)
-
12
-
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과 황장엽의 인간중심철학 - 일원론적 역사유물론의 극복 시도로서의 두 ‘다원론적 실천철학 체계’에 대한 비교 검토 -
-
선우현;
청주교육대학교;
(사회와 철학,
v.0,
2010,
pp.265-312)
-
13
-
한중관계에서 ‘우연적 두 사건’의 역사적 의미와 메시지 - 중국민항기 납치사건(1983)과 황장엽 망명사건(1997)
-
이동률;
동덕여자대학교;
(국제정치연구,
v.22,
2019,
pp.185-213)
-
14
-
인간중심철학의 철학적 기초 - 인간중심의 세계관과 사회 역사관을 중심으로
-
선우현;
;
(哲學,
v.69,
2001,
pp.231-253)
-
15.
- 주체사상의 ‘인간문제’에 관한 연구
- 임한필
-
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, 국내석사,
ⅴ, 84 p., 2005
-
16
-
동학사상과 인간중심정치철학
-
노태구;
;
(한국정신과학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Jungshin Science,
v.14,
2010,
pp.41-68)
-
17.
- 북한의 종교지형 변화 요인에 관한 연구
- 송원근
-
명지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154 p., 2012
-
18.
- 주체사상의 철학적 인간론 비판 : 몰트만의 인간이해를 중심으로
- 이춘영
-
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ⅱ, 78 p., 2015
-
19.
- 統一獨逸에 있어서 不法淸算에 관한 公法的 硏究 : 國家公安部文書管理廳을 중심으로
- 김태진
-
東亞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xv, 329p., 1997
-
20.
- 북한의 위기대응과 체제 운영원리 : 수령 체제를 중심으로
- 모춘흥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, 255 p., 20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