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일본의 전통공예품에 대한 산업인류학적 연구-후쿠오카시 하카타오리를 중심으로-
-
황달기;
계명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4,
pp.495-519)
-
12
-
일본의 전통공예품에서 혁신 의미와 역할-사가현의 아리타야키를 중심으로-
-
황달기;
계명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6,
pp.351-370)
-
13
-
후쿠오카시 ‘하카타돈타쿠’의 성립과 전개 -‘마쓰바야시’의 시민축제화 과정을 중심으로-
-
황달기;
계명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1,
pp.603-624)
-
14
-
일본 도시제례의 스포츠적 성격과 의미 -하카타기온야마카사(博多祇園山笠)의 사례를 중심으로-
-
황달기;
계명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0,
pp.503-523)
-
15
-
일본 온천의 관광문화적 가치와 특성
-
황달기;
계명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2,
pp.635-651)
-
16
-
일본의 전통공예품 제작기법의 역사・문화적 의미-아리타야키를 중심으로-
-
황달기;
계명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3,
pp.456-480)
-
17
-
일본 야쿠시마 생태관광의 현황과 과제
-
황달기;
계명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5,
pp.331-352)
-
18.
- 급성 A형 간염에서 인산염치의 임상적 의미
- 최영훈
-
가톨릭관동대학교, 국내석사,
, 2018
-
19
-
지역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?- 일본지역연구 방법론 모색을 위한 시론 -
-
황달기;
계명대;
(일본어문학,
v.0,
2003,
pp.477-504)
-
20
-
하카타기온야마카사(博多祇園山笠)의 조직과 운영 - 나가레(流)와 마치(町)를 중심으로 -
-
황달기;
계명대학교;
(일본어문학,
v.0,
2009,
pp.457-48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