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17건 중 417건 출력
, 2/42 페이지
-
11
-
形神論과 회화창작의 관계성 연구
-
이은호;
홍익대학교;
(동양예술,
v.0,
2024,
pp.293-321)
-
12
-
이세신궁 식년천궁과 천황제 이데올로기: 새로운 신화만들기
-
박규태;
한양대학교;
(日本思想,
v.0,
2014,
pp.27-47)
-
13
-
관폐대사 부여신궁의 신원(神苑) 조성 연구 - 메이지 신궁 및 조선신궁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-
-
권오영;
김아람;
김영재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국가유산청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대한건축학회논문집,
v.40,
2024,
pp.147-158)
-
14
-
고대 일본의 삼신산(三神山) 및 관련 신사(神社)
-
이수용;
국학연구소;
(仙道文化,
v.38,
2025,
pp.45-76)
-
15
-
泰州學派顔鈞的民間講學與民間公論化
-
이경룡;
세종대학교;
(동국사학,
v.0,
2008,
pp.143-172)
-
16
-
국가신도와 야스쿠니신사초혼사의 통합과정에 대한 재검토
-
박진우;
숙명여대 일본학과;
(日本思想,
v.0,
2007,
pp.145-178)
-
17
-
구한말~일제강점기 전주와 수원의 경관 변화 - 식민지 경관 및 도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-
-
김병희;
경기대학교;
(역사와교육,
v., 0,
2015,
pp.587-642)
-
18
-
기능성 신사화가 선자세의 족저압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: 예비연구
-
이남이;
배영현;
피재열;
김형근;
조상익;
김순현;
HML휴먼모션랩;
HML휴먼모션랩;
분당동국대병원;
신구대학교;
조선대학교병원;
국립교통재활병원;
(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,
v.2019,
2019,
pp.341-342)
-
19
-
日本の中の朝鮮渡文化 -埼玉高麗神社をめぐって-
-
金任仲;
동경대학교;
(日本語文學,
v.1,
2006,
pp.201-220)
-
20
-
記紀神話としての『シン・ゴジラ』 : ヒルコ、カグツチ、スサノオの物語
-
久美子 永井;
東京大学大学院総合文化研究科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21,
pp.85-10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