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에.테.아. 호프만의 <사촌의 구석 창문>(1822)에 나타난 내면 통찰로서의 외부 조망
-
최민숙;
이화여자대학교;
(괴테연구,
v.0,
2013,
pp.161-186)
-
12
-
서사적 위반과 경계 넘나들기(2) - 에.테.아. 호프만의 『브람빌라 공주』 연구
-
홍자선;
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인문과학,
v.133,
2025,
pp.91-116)
-
13
-
에.테.아. 호프만의 음악과 문학 – 『수고양이 무어의 인생관』에 나타난 사랑 모티브를 중심으로
-
홍자선;
연세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63,
2022,
pp.275-295)
-
14
-
Eine Untersuchung zu E.T.A. Hoffmanns Der Sandmann als ein posthumanistischer Text
-
Kim, Jin Hwan;
;
(獨語敎育= Koreanische zeitschrift fur Deutschunterricht,
v.86,
2023,
pp.121-144)
-
15
-
Zufall, Glücksspiel und Schreiben als Spiel bei E.T.A. Hoffmann
-
Kim, Sung-Hyun;
;
(독일어문학 = Deutsche Sprach- und Literaturwissenschaft,
v.101,
2023,
pp.47-74)
-
16
-
에.테.아. 호프만의 『브람빌라 공주』연구 - 환상의 세계와 낭만주의 문학 요소에 대하여
-
김선형;
;
(헤세연구 = Hesse-Forschung,
v.4,
2000,
pp.189-210)
-
17.
- 에.테.아. 호프만 E.T.A. Hoffmann의『브람빌라 공주 Prinzessin Brambilla』에 나타난 “이원론적” 세계관의 극복 연구
- 박제현
-
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124 p., 2012
-
18
-
Das Mechanische und das literarische Experiment in E.T.A. Hoffmanns Die Automate
-
Kim, Yeon Soo;
;
(독일어문학 = Deutsche Sprach- und Literaturwissenschaft,
v.85,
2019,
pp.233-264)
-
19.
- 에.테.아. 호프만의 <모래사나이>에 나타난 낭만적 아이러니
- 김연경
-
성신여자대학교, 국내석사,
57 p., 2009
-
20
-
에. 테. 아. 호프만의 동화 『낯선 어린이』에 나타난 아동의 문학적 형상화와 상징성
-
장영은;
숙명여자대학교;
(괴테연구,
v.0,
2004,
pp.269-29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