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혜경궁홍씨(惠慶宮洪氏)(1735~1815)의 삶과 생활세계 - 언간(諺簡)과 언교(諺敎)를 중심으로
-
이남희;
원광대학교;
(열린정신 인문학 연구,
v.21,
2020,
pp.229-254)
-
12
-
「한중록」에 나타난 혜경궁 홍씨의 현실 인식 연구 –「읍혈록」(1802)과 「병인추록」(1806)을 중심으로
-
김정경;
인천대학교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24,
pp.136-166)
-
13
-
혜경궁홍씨(惠慶宮洪氏)(1735~1815)의 삶과 생활세계 - 언간(諺簡)과 언교(諺敎)를 중심으로
-
이남희;
원광대학교;
(열린정신 인문학 연구,
v.21,
2020,
pp.229-254)
-
14.
- 타자이해를 중심으로 한 <한중록> 교육 연구
- 조연정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ⅶ, 159 p., 2012
-
15
-
⟨한중록⟩의 이야기 세계와 가능 세계-혜경궁 홍씨의 독서 경험과 글쓰기 행위의 상관성을 중심으로
-
김정경;
인천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23,
pp.125-151)
-
16.
- 「한중록」의 교수-학습 방안 연구 : 문학치료적 관점으로
- 최지혜
-
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, 136 p., 2012
-
17.
- <한중록>의 교수-학습 방안 연구 : -문학치료적 관점으로
- 최지혜
-
경희대학교, 국내석사,
v, 136 p., 2012
-
18.
- 奉壽堂 進饌과 洛南軒 養老宴의 音樂的 考察 : 園幸乙卯整理儀軌를 중심으로
- 강민영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78p., 2004
-
19.
- 한중록의 자기경험 인식 양상과 그 활용 방안
- 임현주
-
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3
-
20
-
⟨한중록⟩에 나타난 궁궐 공간 인식과 장소감
-
김선현;
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부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24,
pp.43-7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