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원격의료의 허용 여부와 그 한계
-
현두륜;
법무법인 세승;
(의료법학,
v.21,
2020,
pp.3-33)
-
12
-
의료용구(醫療用具)에 대한 법적(法的) 규제(規制)의 문제점(問題點) - PACS 관련 허가절차를 중심으로 -
-
현두륜;
대외법률사무소;
(의료법학,
v.4,
2003,
pp.199-221)
-
13
-
건강보험에 있어서 의사와 환자간의 법률관계 - 임의비급여 문제를 중심으로 -
-
현두륜;
대외법률사무소;
(의료법학,
v.8,
2007,
pp.69-118)
-
14
-
북한법상 손해배상의 방법
-
현두륜;
법무법인 세승;
(통일과 법률,
v.0,
2019,
pp.29-57)
-
15.
- 북한의 손해배상법제 연구
- 현두륜
-
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xii, 293 p., 2019
-
16
-
요양급여기준의 법적 성격과 요양급여기준을 벗어난 원외처방행위의 위법성 -대법원 2013. 3. 28. 선고 2009다78214 판결을 중심으로-
-
현두륜;
법무법인 세승;
(의료법학,
v.15,
2014,
pp.123-164)
-
17
-
북한 손해배상법을 통한 북한 사회의 이해
-
현두륜;
법무법인 세승;
(통일과 법률,
v.0,
2020,
pp.78-106)
-
18
-
북한 기업소의 조직과 지배구조
-
현두륜;
법무법인 세승,국민대학교 법과대학;
(통일과 법률,
v.0,
2024,
pp.64-91)
-
19
-
북한법상 손해의 개념
-
현두륜,;
;
(法學論叢 : 國民大學校 法學硏究所,
v.32,
2019,
pp.125-149)
-
20
-
북한 손해배상법을 통한 북한 사회의 이해
-
현두륜;
법무법인 세승;
(통일과 법률,
v.0,
2020,
pp.78-106)